윈도우10 education과 enterprise, server에서 ip로 직접 접근해도 samba연결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서버 log를 살펴보면 nobody로 접근하여 서버에서 차단시켰다고 뜬다.
임시방편으로 cmd창을 열고 "net use \\서버주소 * /user:계정이름" 을 치고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한 계정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하지만, 재부팅 하면 다시 계정이 초기화 되는지 접근이 불가능해진다.
윈도우키 + r 을 누른뒤 gpedit.msc를 실행하거나 제어판에서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한 뒤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네트워크 - Lanman 워크스테이션에서 '보안되지 않은 게스트 로그온 사용'을 더블클릭 한뒤 사용으로 바꾸어주면 해결이 재부팅해도 접근이 가능해진다.
참고로 여러 블로그에서 smb1을 열어주니 해결되었다~~ 하는 글들이 있는데 smb1는 정말 취약한 프로토콜이라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
smb1을 열어주니 해결된 경우는 smb2, 3을 지원 안 하는 서버자체의 문제이거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아닌 정말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smb1는 한 때 떠들썩했던 랜섬웨어의 대표적인 감염경로이고, 그 취약점의 해결방도가 없기때문에 아예 사장된 프로토콜이다.
-- 추가
rs5로 올라오면서 다시 설정한다고 건드려보니 이 방법으로도 안 된다.
학교계정으로 로그인하면서 Azure AD로 로그인하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인듯하다.
다행히 해결방법을 찾았는데,
제어판\사용자 계정\자격 증명 관리자 에서
위와 같이 설정해주면 리부팅없이 바로 접속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