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20 추가
usb 3.0포트 사용시 와이파이 신호와의 간섭때문에 5.0Ghz신호가 아예 사라져버리는 버그가 1년넘게 고쳐지지않고 있습니다. 2.0 usb를 연결시켜도 신호간섭이 있기때문에 방법이 없습니다. 펌웨어도 2016년 펌웨어가 마지막으로 고칠 생각이 없거나 하드웨어문제거나 고칠 기술력이 없어보입니다. 간이nas기능은 없다고 생각하고 구매하세요.
========================
메인으로 netis WF2780 사용 중 집 끝까지 커버리지가 닿지않아 iptime사의 N104K를 리피터용으로 쓰다가 너무 느려서 HI1200AC를 메인으로, WF2780을 리피터용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했습니다.
리뷰는 WF2780과 비교해가며 평가할 것이고 속도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룰 것입니다.
두 공유기 모두 최신펌웨어로 업데이트 후 설정초기화를 하여 기본설정으로 테스트했습니다.
사용환경
사용환경은 1PC, 1노트북, 다수의 스마트폰이고 기가회선을 통해서 KT기가콤팩트(500mbps)를 사용 중입니다.
다나와 Q&A에 보면 500mbps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있던데 제 회선은 1gbps로 정상인식하며 제 속도 다 뽑아주는걸로 확인됐습니다. 혹시 500mbps로 인식되는 회선을 사용중이시면 한번 집고 넘어가셔야 되겠네요.
패키지![](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A83455B01324E17)
평범한 구성입니다. 공유기와 어댑터, 1m남짓의 랜선, 사용설명서, 그리고 ftp설정과 nvr설정설명서를 따로 넣어주네요.
다행히 랜선은 1gbps를 지원하는 8가닥 cat.5e입니다. 1m밖에 안 되서 조금 짧은 느낌이 있는데 기존에 사용하던게 있으니 상관은 없습니다.
너무도 투박한 어댑터입니다. 대게 중국 중저가형 어댑터가 저런 모양으로 다 찍혀나오던데.. 다른 회사 공유기들 어댑터보다는 큰 편입니다.
12v 1.5a로 평범한 스펙입니다. usb포트가 없는 WF2780은 12v 1a입니다.
발열
사용기들 보면 높은 발열량때문에 wifi가 간혹 끊긴다는 말이 있어 aliexpress를 통해서 방열판과 전도실리콘을 사놓은 상태입니다.
아직 사용한지 몇 시간 안 지나 정확한 테스팅이 불가능하지만 WF2780보다 약간 발열량이 큰 거 같습니다. 참고로 WF2780도 HI1200AC와 같이 방열판이 하나도 없습니다.
속도
공유기 리뷰의 꽃. 속도부분입니다. 날씨가 더워 데스크탑을 켜기싫어서 노트북으로 테스트한 점 참고바랍니다.
테스트는 speedtest에서 테스트했습니다.
먼저 공유기를 물리지않은 채 벽에서 나오는 랜선을 그대로 꼽아보았습니다.
500mbps 모두 뽑아주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유선 속도
아래는 HI1200AC에서 노트북으로 랜선을 직접 꽂은 테스트입니다.
테스트하다보니 오차가 범위 외로 발생하여 3번씩 테스트하여 첨부했습니다.
오차가 상당히 큰 편입니다. 테스트를 거듭할 수록 속도가 느려져서 불안했는데 혹시나 해서 4번째 돌렸을 때는 1번째와 같은 속도를 나타내줬습니다. 이렇게 나오는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네요. 그래도 생각보다는 준수한 편입니다.
아래는 비교군인 WF2780에서 노트북으로 랜선을 직접 꽂은 테스트입니다.
2년동안 아무 불편함 없이 잘 써왔는데 생각보다 다운로드속도가 많이 낮게 나오네요... 업로드속도는 WF2780가 약간 앞서지만 다운로드속도는 HI1200AC가 100mbps이상 크게 앞섭니다.
무선 속도
와이파이는 노트북보다는 스마트폰에서의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speedtest어플을 깔아 테스트했습니다.
공유기 50cm앞에서 테스트했으며 테스트기기는 leeco사의 cool1 dual입니다.
먼저 순서대로 HI1200AC의 5Ghz와 2.4Ghz입니다.
생각보다 준수한 성능을 보여주네요. 동가격대는 물론 5~6만원대의 iptime사의 공유기보다 준수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아래는 순서대로 WF2780의 5Ghz, 2.4Ghz입니다.
5Ghz는 HI1200AC가, 2.4Ghz는 WF2780이 약간 더 빨랐습니다. 업로드속도는 유선부터 무선까지 WF2780이 빠르네요.
중간에 핑이 튀는 거는 안 보셔도 될 것같습니다. 한번도 저런적 없는데 테스트 도중 문제가 있었나봐요.
USB포트
HI1200AC의 특장점은 동가격대에서 찾아볼 수 없는 USB3.0지원입니다.
타 공유기와 같이 FTP서버를 구성해서 내,외부 망에서 연결된 USB, 외장하드에 접근가능합니다.
우선, USB포트에 얼만큼의 전원이 인가되는지 테스트해보았습니다.
5v 0.5a... 2.5w정도의 전원이 인가되는데 외장하드는 외부전원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usb 1~2개정도는 문제없이 사용가능할겁니다.
ftp를 통해 nas구성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같이 동봉되는 설명서를 따라하면 1분내로 구성가능합니다. 외부망에서도 쉽게 접근가능하구요.
다만, 펌웨어 업데이트 때문인지 설명서에 나와있는 'ftp 사용자 관리'가 안 보입니다. 즉, ftp에 접근하여 로그인할 계정설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저만 사용할 개인망으로 쓸 거라 문제없습니다만 wevo에 문의하여 확인해보셔야 할 것같습니다.
NAS 속도
USB3.0포트에 3.0 USB를 하나 꽂아서 간이 NAS를 구성했습니다.
파일질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TP서버에 3기가 가량의 파일 하나를 업/다운로드하여 속도를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업로드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는 동가격대 공유기들의 속도와 비슷하거나 조금 못 미치는 정도인데 다운로드 속도는 생각보다 많이 빠르네요.
500mbps를 모두 뽑아주는 것으로 보아 1gpbs망 쓰시면 아마 USB3.0의 속도를 뽑아주리라 생각합니다.
몇시간 사용하지 않았지만 장점과 단점을 추려내보면
장점
1. 동 가격대 고성능(1gbps환경이 아니라 아쉬운 테스트였지만 500mbps는 모두 뽑아줬습니다.)
2. 생각보다 괜찮은 nas성능
3. 간편한 nas구성
4. 깔끔한 디자인과 360회전 가능한 안테나
단점
1. 프린터서버 미지원(Q&A를 보면 프린터서버 기능을 넣으면 꼬인다고 하네요. 좀 많이 아쉽습니다.)
2. 발열 ( USB쪽부터 중앙까지 뜨근뜨끈합니다.)
또, 하나 특이한 점은 모델명은 HI1200AC인데 초기 와이파이 비밀번호에는 W2914NS V2가 들어갑니다. W2914NS V2는 HI1200AC와 완벽하게 똑같은 스펙을 가진 모델로, W2914NS V2 를 리네이밍하여 HI1200AC로 낸 것같은데 비밀번호는 그대로네요..
이상 리뷰를 마칩니다.